사업자등록 할 때 준비해야 할 것들이 한두가지가 아닙니다. 그런데 사업자에도 여러 유형이 있습니다. 내가 그냥 일반 사업을 할것인지? 그게 아니면 아주 작게 조금씩 시작을 할것인지 그게 아니면 면세 사업을 할것인지 등 종류가 다양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사업자 등록할 때 꼭 알아야 하는 일반사업자, 간이사업자, 면세사업자라는 것에 대해서 설명드리면서 이 세가지의 차이점과 장단점 그리고 혜택 등록조건과 준비서류는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서 하나씩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시압지 유형별 기본 개념 안내
✔ 일반과세자(일반사업자)
연간 매출액이 8,000만원 이상 또는 간이과세 배제 업종에 해당되는 사업자입니다. 이 일반과세자는 부가가치세 10%를 적용받고 세금계산서 발급 및 매입세액 공제가 가능한 사업자 입니다.
✔ 간이과세자(간이사업자)
연간 매출액이 8,000만원 미만 또는 소규모 개인사업자(일부 업종 제외)로 부가가치세율이 1,5 ~ 4%로 낮습니다. 세금계산서 발급 역시 제한적이며 매입세액에 대한 환급이 불가한 사업자 입니다.
✔ 면세사업자
이 사업자는 부가가치세법상 면세되는 재화.용역(예: 농산물, 도서, 교육, 의료 등)을 공급하는 사업자 입니다. 부가가치세는 면제되지만 소득세(종합소득세 또는 법인세)는 납부해야 합니다.
2️⃣ 유형별 장점과 단점 및 혜택은?
구분 | 장점 | 단점 | 혜택/특징 |
---|---|---|---|
일반 과세자 | 세금계산서 발급, 매입세액 공제, 신용도/ 거래 신뢰도 높음 | 부가가치세율 10%, 연 2회 신고, 세무관리 복잡 | 매입세액 환급 가능, 대규모 사업 적합 |
간이 과세자 | 낮은 부가가치세율(1.5~4%), 연 1회 신고, 세무관리 간편 | 세금계산서 발급 제한, 매입세액 환급 불가, 일부 업종 제외 | 연매출 4,800만 원 이하 부가세 납부 면제 |
면세 사업자 | 부가가치세 신고·납부 의무 없음, 세무관리 간편 | 매입세액 환급 불가, 세금계산서 발급 불가, 소득세는 납부 | 교육·의료·농수산물 등 특정 업종에 한정 |
3️⃣ 등록조건은?
4️⃣사업자 등록 준비서류는?
✔ 사업자 등록 공통 준비 서류는?
✔인허가 업종의 준비서류는?
✔공동사업자 준비서류는?
✔특수업종 준비서류는?
✔면세사업자 준비서류는?
5️⃣ 유형별 요약 내용 안내
구분 | 등록조건 | 부가가치세율 | 세금계산서 발급 | 매입세액 공제 | 신고 횟수 | 주요 혜택/특징 | 준비서류(공통) |
---|---|---|---|---|---|---|---|
일반과세자 | 연매출 8,000만 원 이상, 배제업종 | 10% | 가능 | 가능 | 연 2회 | 거래 신뢰, 환급 가능 | 사업자등록신청서, 신분증, 임대차계약서 등 |
간이과세자 | 연매출 8,000만 원 미만, 일부업종제외 | 1.5~4% | 제한적 | 불가 | 연 1회 | 낮은 세율, 납부면제(4,800만 원 이하) | 동일 |
면세사업자 | 면세대상 업종 | 없음 | 불가 | 불가 | 연 1회(현황신고) | 부가세 면제, 소득세 신고 의무 | 동일 + 면세업종 증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