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2025년 대한민국의 복지 정책에서의 아주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는 '기준중위소득'은 국민 가구 소득에서 중간값으로, 매년 정부가 공식 발표하고 있습니다. 이 기준중위소득은 복지수급 자격 판정에서 핵심적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2025년은 역대 최대치인 6.42% 상승으로 소득기준이 크게 변화했습니다. 

우리 가구가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 아래 설명내용을 보시면서 정확히 아시는 것도 중요하기에 2025년 최신 기준중위소득 수치를 가구원 수별, 구간별로 세세하게 살펴보며, 산출법과 실제 활용법, 계산기 사용법까지 꼼꼼히 안내하겠습니다. 복지제도 신청, 재산.소득 판단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기준중위소득이란?

기준중위소득은 국민 전체 가구의 소득을 낮은 순서부터 높은 순서까지 정렬하였을 때 중간위치에 있는 가구의 월소득들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단순한 평균 소득과 다르게 소득 극단값의 영향을 덜 받으면서 정부의 복지 정책 수급 기준과 생계.의료.주거급여 선정에서 핵심적 사용되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2025년 기준중위소득 최신 수치 안내

2025년 기준중위소득은 2024년 대비 6.42%의 역대 인상률을 보였습니다. 가구원 수별 100% 기준 월 소득은 아래 표로 설명드리겠습니다. 

가구원 수

100% 기준중위소득(원)

1인

2,392,013

2인

3,932,658

3인

5,025,353

4인

6,397,773

5인

7,108,192

6인

8,064,805

7인

8,988,428

8인 이상 가구는 인원 추가 시마다 923,623원씩 가산이 적용 됩니다. 

▶2025년 구간별 기준중위소득 상세 표 내용

각 가구원수 별 주요 비율별 기준중위소득 월 소득(단위:원)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가구원 수30%40%50%60%70%100%120%150%
1인717,604956,8051,196,0071,435,2081,674,4092,392,0132,870,4163,588,020
2인1,179,7971,573,0631,966,3292,359,5952,752,8613,932,6584,719,1905,898,987
3인1,507,6062,010,1412,512,6773,015,2123,517,7475,025,3536,030,4247,538,030
4인1,829,3322,438,9093,048,8873,658,6644,268,4416,097,7737,317,3289,146,660
5인2,132,4582,842,6373,554,0964,264,9154,975,7347,108,1928,529,83010,662,288
6인2,419,4423,225,9224,032,4034,838,8835,645,3648,064,8059,677,76612,097,208
  • 주요 활용 구간별 설명 안내
    • 32% 생계급여 선정기준
    • 40% 의료급여 선정기준
    • 48% 주거급여 선정기준
    • 50% 기초생활보장, 차상위계층, 국민취업지원 등
    • 60% 한부모가족, 조손가족, 청년월세지원 등
    • 70% 가사 간병 방문지원
    • 100%이상 각종 복지 및 청년 고용 지원 프로그램 대상 기준

▶기준중위소득 계산법 안내

기준중위소득은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 중위소득을 기본 바탕으로 해서 연간 소득증가율 및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여 보건복지부 중앙 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를 통하여 최종 결정이 됩니다. 
  • 공식 계산식
    • 기준중위소득(년도) = 기준중위소득(전년도) × (1+증가율)
    • 예시 4인가구 (2024년) 5,729,913원 × (1 + 0.0642) = 6,097,773원 (2025년)
    • 구간별 산출법은?
      • 구간별 중위소득=기준중위소득×비율(예:0.6,0.7)
계산식을 알아도 계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용하는 것이 기준중위소득 계산기 입니다. 아래 안내해드리는 계산기 사이트를 통해서 이용해보세요.

▶기준중위소득 계산기 소개 및 활용법

공식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계산기 사이트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보건복지부 복지로 홈페이지', '민간복지지원 관련 사이트 엔젤시티' 가 있습니다. 아래 바로 연결할 수 있는 링크가 있으니 참고하세요.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서 가구원수 나 원하는 급여 종류를 선택하시고 연도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가구의 월 총 소득을 입력 후 기준 비율을 선택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계산 버튼 클릭 시에 산출 금액 및 예상 복지수급 자격이 확인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그리고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별로 지원되는 내용들이 다르니 이점도 꼭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