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를 창업하는 경우 일반 사무실로 입주하는 경우도 있지만 오피스텔로 입주하는 경우들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 사무실 청소를 할 때 내가해야 하는걸까? 업체에 맞겨야 하는걸까? 고민하는 분들이 꽤 많습니다. 저도 고민을 했습니다. 이런 고민은 아래 몇가지를 꼼꼼히 체크하세요.
- 입주청소를 하는데 있어서 직접하는 비용과 전문업체 맡길 때 비용에 대한 비교
- 업체를 고를 때 무엇을 기준으로 비교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 청소 후 하자가 생기는 것에 대한 A/S에 대한 비교
- 전문장비나 친환경 세제 사용이 꼭 필요한가 그렇다면 추가비용이 드는가의 내용
입주를 준비하게 되면 고민하게 되는 것들인데 특히나 오피스텔, 사무실과 같이 공간이 넓고 청소 범위가 복잡한 곳들은 내가 직접 하게 되면 시간과 품이 너무 들게 됩니다. 당연히 고민이 됩니다. 업체를 불러야 하는지 그 업체를 믿을 수 있는지 입니다. 그래서 '입주청소 시간과 비용 및 업체 비교방법'에 대해서 핵심 포인트를 구체적으로 짚어 드리겠습니다.
오피스텔 및 회사 입주청소 누가해야 할까?
일단 오피스텔이나 회사 입주를 할 때 입주 당사자가 또는 집주인이 해야 하는걸까? 고민을 하게 됩니다. 이때 꼭 아셔야 하는 '법적의무와 그에 대한 사례'들을 몇가지 설명드리겠습니다.
▶법적 의무는?
오피스텔과 회사(사무실) 입주청소의 법적 책임과 명확히 규정된 법들은 없습니다. 다만 아래 몇가지를 체크해보는것을 추천드립니다.
- 일반적으로 '임대차 계약서의 특약'에 따라서 결정되고, 계약서에 별도 명시가 없다면 관행에 따라서 집주인 또는 입주자가 청소를 맡게 됩니다.
- 월세의 경우 집주인이 기본 청소를 해주는 경우가 많고, 전세 또는 매매는 입주자가 직접 청소하는 일들이 꽤 많습니다.
- 법적으로는 임대인이 청소를 해줄 의무가 없지만 계약서에서 명시하거나 협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는 점 참고하세요.
- 청소 관련 하자가 발생하게 되면 청소업체에 민법상 불법행위책임(민법 제750조) 및 채무불이행(민법 제390조) 책임을 물 수 있습니다.
▶사례는?
- 오피스텔 임차인이 직접 청소를 한다던지 청소업체에 의뢰하는 경우들이 꽤 많습니다.
- 회사 사무실의 경우에 입주 전 전문 청소업체를 통하여 청소를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오피스텔 입주청소 '소요시간, 인원, 가격, 전문장비 비용 등'
▶소요시간과 인원, 가격, 전문장비 비용 정리
평수 | 인원 | 소요 시간 | 가격(원) |
---|---|---|---|
9평 이하 | 1~2명 | 2~3시간 | 140,000~200,000 |
10~18평 | 2명 | 3~4시간 | 180,000~250,000 |
19~24평 | 2~3명 | 3~4시간 | 200,000~330,000 |
25~30평 | 3명 | 4~5시간 | 300,000~420,000 |
30평 이상 | 3~4명 | 5시간 이상 | 340,000~510,000 |
- 평균단가: 평당 10,000 ~ 15,000원 정도 입니다.
- 전문장비/시스템: 고온스팀살균, 친환경세제, 에어컨 필터 청소, 가전제품 내부 청소 등은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비용 변동 요인: 복층, 층고, 오염도, 추가서비스(해충방역, 새집증후군 제거 등) 여부에 따라서 추가 비용이 발생될 수 있다는 걸 참고하세요.
회사(사무실) 입주청소 '시간, 인원, 가격, 전문장비 비용'
▶소요시간과 인원, 가격, 전문장비 비용 정리
- 평균 소요시간: 30평 기준 4 ~ 5시간, 50평 이상은 6시간 이상이 소요됩니다.
- 평균인원: 30평 기준 3명, 50평 이상은 4 ~ 5명 정도 입니다. (업체에 따라 인원은 달라요)
- 평균가격
- 30평: 360,000 ~ 450,000원
- 50평: 600,000 ~ 800,000원
- 평당: 12,000 ~ 15,000원 수준 입니다.
- 전문장비/시스템
- 바닥 광택기, 고압세척기, 스팀살균기, 공기청정기 등 사용합니다.
- 사무실 특성상 바닥재, 천장, 유리창, 사무가구 등 전문 청소가 포함됩니다.
- 장비 사용 및 서비스 범위에 따라서 추가 비용이 발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