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이나 공휴일에 늦은시간까지 놀다가 집으로 가야 하는데 차가끊기면 대략 난감 합니다. 이 밖에도 출장을 가거나 일이 있어서 늦은 시간까지 있다가 집에 갈 때 차가 없을 때 진짜 난감합니다. 이때 심야 야간 버스의 노선도와 시간표 및 요금표까지 정확히 알고 있다면 걱정 없겠죠? 그래서 서울의 심야 야간버스, 경기도의 심야 야간버스, 부산의 심야 야간 버스 노선도와 시간표, 요금표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서울 심야버스(야간버스) 노선도 및 시간표, 요금표 정리
서울시의 시민들이 늦은 귀갓길을 위해서 이용할 수 있는 심야버스는 총 14개의 N번대의 야간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각 노선들은 주요 주거지와 업무.상업 교통 허브 지역을 연결하면서 '오후 11시부터 새벽 5 ~ 6시' 사이로 운행하고 있습니다.
1) 서울 심야버스 14개 노선
노선 | 출발지 | 종착지 | 주요 경유지 |
N13 | 상계동 | 장지동 | 상계주공7단지, 노원역, 공릉역, 청량리, 동대문, 강남역, 잠실역, 송파공영차고지 |
N15 | 우이동 | 사당역 | 수유역, 미아사거리, 성신여대입구, 동대문, 종로, 남대문, 서울역, 노량진, 사당역, 남태령 |
N16 | 도봉산역 | 온수동 | 도봉산역, 창동, 광운대, 성북, 정릉, 면목, 온수동 |
N26 | 방화동 | 신내동 | 방화역, 김포공항, 양천구청, 여의도, 강남, 사당, 신내동 |
N30 | 강일동 | 서울역 | 강일동, 강동역, 광나루역, 군자역, 잠실, 종로, 서울역 |
N31 | 강일동 | 정릉동 | 강일동, 둔촌동, 구의역, 왕십리, 동대문, 정릉동 |
N37 | 진관동 | 장지동 | 진관동, 구파발, 연신내, 홍대입구, 강남역, 장지동 |
N51 | 시흥동 | 하계동 | 시흥동, 목감, 신길, 도봉, 하계동 |
N61 | 신정동 | 노원역 | 신정동, 디지털단지, 신림, 서울대입구, 강남, 노원역 |
N62 | 신정동 | 면목동 | 신정동, 구로, 금천, 면목동 |
N64 | 방화동 | 염곡동 | 방화동, 강서, 공항, 염곡동 |
N72 | 수색동 | 신내동 | 수색, 독산, 신내동 |
N73 | 장지동 | 구산동 | 장지동, 강남, 홍대, 구산동 |
N75 | 진관동 | 신림동 | 진관동, 응암, 신촌, 신림동 |
여기서 주요 정류장들은 경로상 대표적인 구간들입니다. 중간 정류장이 다수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꼭 자세한 버스 정류장은 서울시 버스 모바일, 서울시 교통정보시스템, 서울시 대중교통 앱을 통해서 자세히 확인해보세요.
2) 서울 심야 야간버스 14개 노선별 운행 시간 및 배차 간격
노선 | 첫차 출발 시간 | 막차 출발 시간 | 배차 간격 (분) |
N13 | 23:30 | 3:40 | 20~30 |
N15 | 23:40 | 3:30 | 15~30 |
N16 | 23:50 | 3:45 | 20~30 |
N26 | 0:00 | 3:25 | 20~25 |
N30 | 23:10 | 3:50 | 30~35 |
N31 | 23:30 | 3:50 | 35~40 |
N37 | 0:00 | 3:10 | 25~30 |
N51 | 23:40 | 3:45 | 30 |
N61 | 23:40 | 4:10 | 10~30 |
N62 | 23:40 | 3:10 | 15~20 |
N64 | 23:40 | 3:15 | 30~35 |
N72 | 23:30 | 3:45 | 30~40 |
N73 | 23:30 | 3:35 | 35 |
N75 | 23:30 | 3:50 | 25~30 |
3) 서울 심야버스 요금표 안내
- 성인은 2,500원 입니다. 카드결제 기준
- 청소년은 1,600원 입니다.
- 어린이는 1,400원 입니다.
현금요금은 청소년 1,800원이고 교통카드 이용이 권장되니 참고하세요. 솔직히 야간 심야 버스를 이용하는데 현금으로 이용하는건 굉장히 어렵다고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이 교통카드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점 꼭 참고하고 이용해야 합니다.
4) 서울시 심야 야간 버스 총정리 표
노선 | 출발지 | 종착지 | 주요 경유지 | 첫차 | 막차 | 배차간격 (분) | 요금 (원) |
N13 | 상계동 | 장지동 | 노원, 공릉, 청량리, 동대문, 강남 | 23:30 | 3:40 | 20~30 | 2,500 |
N15 | 우이동 | 사당역 | 수유, 미아사거리, 성신여대, 동대문, 종로, 서울역 | 23:40 | 3:30 | 15~30 | 2,500 |
N16 | 도봉산역 | 온수동 | 도봉산, 창동, 광운대, 성북, 면목 | 23:50 | 3:45 | 20~30 | 2,500 |
N26 | 방화동 | 신내동 | 김포공항, 양천구청, 여의도, 강남, 사당 | 0:00 | 3:25 | 20~25 | 2,500 |
N30 | 강일동 | 서울역 | 강동, 광나루, 군자, 잠실 | 23:10 | 3:50 | 30~35 | 2,500 |
N31 | 강일동 | 정릉동 | 둔촌동, 구의, 왕십리, 동대문 | 23:30 | 3:50 | 35~40 | 2,500 |
N37 | 진관동 | 장지동 | 구파발, 연신내, 홍대, 강남 | 0:00 | 3:10 | 25~30 | 2,500 |
N51 | 시흥동 | 하계동 | 목감, 신길, 도봉 | 23:40 | 3:45 | 30 | 2,500 |
N61 | 신정동 | 노원역 | 디지털단지, 신림, 서울대입구, 강남 | 23:40 | 4:10 | 10~30 | 2,500 |
N62 | 신정동 | 면목동 | 구로, 금천, 면목 | 23:40 | 3:10 | 15~20 | 2,500 |
N64 | 방화동 | 염곡동 | 강서, 공항 | 23:40 | 3:15 | 30~35 | 2,500 |
N72 | 수색동 | 신내동 | 수색, 독산, 신내동 | 23:30 | 3:45 | 30~40 | 2,500 |
N73 | 장지동 | 구산동 | 강남, 홍대 | 23:30 | 3:35 | 35 | 2,500 |
N75 | 진관동 | 신림동 | 응암, 신촌, 신림 | 23:30 | 3:50 | 25~30 | 2,500 |
노선도를 좀더 자세하게 확인하고자 한다면 아래 링크를 눌러서 꼭 확인해보세요. 서울교통공사 심야버스 노선도 및 위치정보에 대하여 확인가능한 사이트 입니다. 서울시 교통정보시스템 topis에서 실시간 노선도랑 정류장 위치 버스 도착 시간 등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경기도 심야버스(야간버스) 노선도 및 시간표, 요금표 정리
2025 현재 경기도의 심야버스는 여러 시군에서 운행되고 있습니다. 서울은 N버스로 통합되어서 운행되지만 경기도는 여러 곳에서 운행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대체로 23:00 이후부터 익일 새벽 3 ~ 4시 사이까지 운행되고 있습니다. 주요 심야 노선들은 광역버스 형태로 서울 주요 지역들과 경기도 주요 거점을 잇는다던지 시내 마을버스 형태로 일부 지역 중심 순환 운행을 하고 있습니다.
1) 경기도 주요 심야버스 노선 및 경유지
노선번호 | 출발지 | 종착지 | 주요 경유지 예시 | 평일 막차(기점 기준) | 특징 |
1200 | 탄현동종점 | 숭례문 | 연세대, 화정지구, 신촌오거리 | 23:30 | 직행좌석형 |
921 | 탄현동종점 | 신촌오거리 | 화정지구 | 23:00 | 좌석형 |
730 | 진관공영차고지 | 상암DMC역 | 삼송역, 원흥역 | 23:00 | 일반형 |
83 | 대장공영차고지 | 여의도 | 오류동 | 0:00 | 일반형 |
700 | 부천상동 | 여의도 | 목동 | 1:10 | 좌석형 |
57 | 소사공영차고지 | 온수남부역 | 역곡남부역 | 23:45 | 일반형 |
1 | 진벌리 | 강변역 | 구리시장 | 23:45 | 일반형 |
9 | 진벌리 | 강변역 | 사능, 교문리 | 23:40 | 일반형 |
320 | 반월공단 | 여의도 | 영등포역 | 23:20 | 좌석형 |
23 | 월곳역 | 본오동차고지 | 안산역 | 0:40 | 일반형 |
81 | 구래동 | 작전역 | 김포공항 | 23:30 | 일반형 |
21 | 구래리차고지 | 김포공항 | 개화역 | 23:50 | 좌석형 |
10-1 | 민락차고 | 도봉산역환승센터 | 국도3호선우회 | 23:30 | 일반형 |
72-1 | 의정부공영차고지 | 노원역 | 장암동 | 23:20 | 일반형 |
22 | 광명종합터미널 | 개봉역 | 하안사거리, 독산역 | 23:15~23:30 | 일반형 |
2) 경기도 심야 광역버스 요금표 안내
버스 종류 | 교통카드 요금(원) | 현금 요금(원) |
일반형 시내버스 | 1,650 | 1,700 |
좌석형 시내버스 | 2,650 | 2,700 |
직행좌석형 (광역버스) | 3,200 | 3,300 |
경기순환버스 | 3,450 | 3,500 |
해당 요금표는 2025년 10월에 인상 예정이라고 하는데 아직 정확한 인상표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자세한 노선도 확인 및 요금표는 꼭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해보세요. 경기도의 모든 버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로 경기도 내 시군별 심야 광역버스 노선, 정류장, 시간표 실시간 확인이 가능해요.3) 경기도 주요 심야 광역버스 노선, 시간표, 요금 종합표 정리
노선번호 | 출발지 | 종착지 | 주요 경유지 예시 | 첫차 | 막차 | 배차간격 (분) | 요금 (교통카드 기준) |
1200 | 탄현동종점 | 숭례문 | 연세대, 화정, 신촌 | 22:00 | 23:30 | 약 30~40 | 3,200원 |
921 | 탄현동종점 | 신촌오거리 | 화정지구 | 22:20 | 23:00 | 약 30 | 2,650원 |
730 | 진관공영차고지 | 상암DMC역 | 삼송역, 원흥역 | 22:30 | 23:00 | 30~40 | 1,650원 |
83 | 대장공영차고지 | 여의도 | 오류동 | 22:40 | 0:00 | 30~50 | 1,650원 |
700 | 부천상동 | 여의도 | 목동 | 22:50 | 1:10 | 30~60 | 2,650원 |
57 | 소사공영차고지 | 온수남부역 | 역곡남부역 | 23:00 | 23:45 | 30~40 | 1,650원 |
1 | 진벌리 | 강변역 | 구리시장 | 22:50 | 23:45 | 30~40 | 1,650원 |
320 | 반월공단 | 여의도 | 영등포역 | 23:00 | 23:20 | 30~40 | 3,200원 |
21 | 구래리차고지 | 김포공항 | 개화역 | 22:50 | 23:50 | 30~40 | 3,200원 |
72-1 | 의정부공영차고지 | 노원역 | 장암동 | 22:40 | 23:20 | 30~50 | 1,650원 |
22 | 광명종합터미널 | 개봉역 | 하안사거리, 독산역 | 22:40 | 23:30 | 30~40 | 1,650원 |
▶부산 심야버스(야간버스) 노선도 및 시간표, 요금표 정리
부산시의 경우 서울과 비슷하지만 좀 많이 다릅니다. 부산시의 심야버스는 일반 시내버스 막차 이후인 밤 22:20 ~ 23:50분 경에 출발해서 새벽 1:30 ~ 2:30분 사이 차고지에 도착하는 버스들 입니다. 주로 도시철도 운행 종료 후 시민들의 안전한 귀가를 돕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2025년 기준으로 14개 이상의 주요 노선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하세요.
1) 부산 심야버스 노선 상세 안내
노선명 | 출발지 | 종착지 | 주요 정류소 | 첫차 출발 시간 | 막차 출발 시간 | 요금 (교통카드 기준) |
2(심야) | 다대포 회수욕장 | 부산역 | 다대포→장림역→신평역→동아대입구→괴정역→구덕운동장→서구청→부산역 | 23:30 | 23:50 | 2,000원 (일반) |
58-1 | 강서공영차고지 | 하단역환승센터 | 강서구 화전동 → 하단역환승센터 | 23:30 | 24:20:00 | 2,000원 (일반) |
1004(급행) | 북부마을(양산시) | 다대포해수욕장 | 북부마을 → 부산진구 → 사상구 → 사하구 → 강서구 → 해운대구 → 기장군 | 22:20 | 23:40 | 2,500원 (좌석) |
110 | 학장 | 부산대학교 | 학장 → 모라 → 부산대학교 | (새벽시간 운행) | (새벽시간 운행) | 2,000원 (일반) |
31 | 센텀시티 | 덕천동 | 센텀시티 → 부전 → 연제 → 덕천동 | 22:50 | 23:40 | 2,000원 (일반) |
33 | 명장 | 연산동 | 명장 → 사상 → 연산동 | 22:35 | 23:10 | 2,000원 (일반) |
40 | 수영 | 범일동 | 수영 → 서면 → 범일동 | 22:45 | 23:55 | 2,000원 (일반) |
120 | 남산동 | 사상역 | 남산동 → 덕천동 → 사상역 | 23:00 | 23:40 | 2,000원 (일반) |
39 | 괴정 | 부산역 | 괴정 → 동아대입구 → 부산역 | 23:15 | 23:50 | 2,000원 (일반) |
55 | 전포동 | 부전동 | 전포동 → 서면 → 부전동 | 22:40 | 23:30 | 2,000원 (일반) |
10 | 다대포 | 시청앞 | 다대포 → 사하구청 → 시청앞 | 23:00 | 23:40 | 2,000원 (일반) |
67 | 청사포 | 해운대 | 청사포 → 해운대 해수욕장 | 22:40 | 23:30 | 2,000원 (일반) |
85 | 기장 | 동래구 | 기장 → 해운대 → 동래 | 23:00 | 23:45 | 2,000원 (일반) |
95 | 수정 | 부산역 | 수정 → 연산동 → 부산역 | 22:55 | 23:35 | 2,000원 (일반) |
부산은 서울이나 경기도와는 다르게 운행시간이 짧습니다. 이유는 운수 종사자의 휴식 보장 및 근무환경관련된 법규를 준수하기 위함입니다. 주 52시간 근무제 등 노동법 규제로 인해서 장기간 심야 운행은 제한이 있기 때문입니다.
'근데 이건 부산 심야버스 이용자가 많이 없어서 돈이 없기 때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솔직히요. 그리고 심야 수요 제한이라고 하는데 새벽 2 ~ 4시 사이 이용객들이 급격하게 감소하기에 운행 효율성이 저하된다고 합니다. 시민이 없는 것도 이유입니다.
그리고 운영비용에 대한 문제 때문으로 심야 운행은 인력.유류비 등 운행 비용이 큰데 승객 수 부족 때문에 경제적 부담이 크기 때문입니다. 대체 교통수단이 존재하는데 심야 택시와 카풀 등으로 일부 구간 수요 보완이 됩니다. 그래서 시간이 차고지 회차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2) 부산 심야버스 요금 체계 상세내용
- 일반 심야버스: 성인 2,000원, 청소년 1,000원, 어린이는 무료(교통카드 기준)
- 좌석 심야버스: 성인 2,500원, 청소년 1,550원, 어린이는 무료
- 현금 요금은 교통카드 요금 대비 약 100 ~ 150원 추가 됩니다.
참고사항으로 심야버스는 일부 노선에서 자율주행 시범운행도 실시 중이라고 하며, 2025년 11월부터 동래역 ~ 해운대역 구간에서 자율주행 심야버스도 운영될 예정이라고 하네요. 그리고 노선도 확인 및 시간표나 요금표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링크를 통해서 자세히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