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상위 10% 기준은 연간 소득, 가구기준, 건강보험료와 자산 등 여러 요소를 종합해서 산정됩니다. 2025년 기준으로 개인과 가구별 커트라인이 다르게 정해지기에 아래 내용들을 참고하세요.

▶주요 소득상위 10% 커트라인 안내

  • 개인 근로소득 기준: 세전 연봉 약 9,270만 ~ 9,500만원, 월급 약 790만 ~ 830만원 이상이라면 상위 10%에 진입합니다. 
  • 종합소득 기준: 근로, 사업, 금융, 기타 소득을 모두 합산하면 상위 10%는 연소득 약 1억 5,200만원 이상이 필요합니다. 
  • 가구 기준: 2024년 ~ 2025년 전국 4인 가구 평균 연소득은 2억 1,051만원으로 집계 되었습니다. 월 1,280만원이 넘는 소득에서 상위 10%로 분류 됩니다. 

▶소득상위 10% 산정 방식은?

  • 국내에서는 통계청.국세청 발표 소득 분위(분포)자료, 건강보험료 부과 기준, 재산세 과세표준 등 다양한 자료를 참고하여 상위 10% 경계값을 정하고 있습니다. 
  • '가구소득'은 가족 모두 전체 소득을 합산해서 산정하고, '개인소득'은 근로소득 및 기타 소득을 종합하고 있습니다. 
  •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월 40 ~ 50만원 이상 납부 또는 직장가입자 기준 월 42만 3천원 이상이라면 상위 10%에 속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할 수 있습니다. 

▶참고 연봉 및 분위별 구간표 안내

▶자산 조건 및 제외 기준은?

  • 주택(재산세 기준) 합산 12억 이상
  • 금융소득 연 2,000만원 초과자

▶구체적 확인하는 방법

  • 국민 건강보험공단, 국세청, 통계청에서 연봉 및 전체 소득, 보험료, 재산세 과세내역 등을 확인해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직장가입 기준 보험료.총소득액, 가구 구성원 전체 소득을 합산하여 판단합니다.
정리하면 2025년 한국 기준 소득상위 10%는 개인소득 기준 연 9,500만원 이상, 가구 기준 월 1,280만원 이상이 대표적 경계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종합소득'(근로+사업+금융+기타)가 1억 5,200만 ~ 1억 5,000만원이상일 때 상위 10%에 해당 된다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