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육비 소득공제 기본 원칙은?
자녀를 실제 양육하는 부모들만 기본공제.양육비공제.교육비공제 등 다양한 세액공제 혜택들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자녀의 기본공제는 만 20세 이하, 연 100만원 이하 소득, 부모와의 동거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해야 적용이 됩니다.
▶공제 항목 및 공제 금액은?
- 자녀 기본공제 항목
- 자녀 1인당 연 150만원까지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만 20세 이하, 연 소득 100만원 이하, 실제 동거 등 조건을 충족해야 공제가 가능 합니다.
- 자녀양육비 공제 항목
- 6세 이하(당해 연도 기준 만 6세까지) 자녀에 대해서 1인당 연 100만원씩 추가 공제가 가능합니다. 이공제는 기본공제와 별도 중복 적용이 가능합니다. 즉! 기본공제와 자녀양육비공제를 동시에 받는 것이 허용 됩니다.
- 교육비 공제 항목
- 자녀의 유치원비, 보육비, 학원비, 학교교육비 등 실제 지출한 교육비 전액(세법 범위 내) 공제 가능하고, 자녀양육비공제와 중복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꼭 참고하세요.
- 의료비공제 항목
- 자녀가 지출한 의료비도 소득공제 대상이 됩니다. 병원비, 예방접종비 등 자녀 명의로 실제 사용된 금액에 대하여 공제 됩니다.
- 부녀자 공제 항목
- 배우자가 있는 여성 근로자 중 6세 이하 자녀가 있다면 부녀자공제(연 50만원)과 자녀 양육비 공제가 모두 적용 됩니다.
▶공제금액표 안내
▶맞벌이 부부/비양육 부모에 대한 특례
- 맞벌이의 경우는 남편이 자녀 기본공제를, 아내가 양육비공제와 부녀자공제를 받는 등의 분할 전략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 비양육부모(이혼 후에 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부모)도 실제 지급한 양육비나 교육비에 대한 증빙 제출 시 일부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합의서.이체내역 등 객관적 자료가 필요합니다.
공제항목별로 요건과 금액이 다릅니다. 그래서 실제 지출한 내역과 가족관계, 자녀 나이, 소득요건 등을 꼼꼼하게 확인하여 각 항목별 최대한의 소득공제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양육비 소득공제 신청 절차와 준비서류 안내
- 회사 연말정산 시스템에서 자녀를 부양가족으로 등록해야 합니다.
- 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등본 등의 증빙서류를 꼭 제출해야 합니다.
- 자녀와의 관계가 명확히 증명되어야 하고, 교육비.의료비 등의 각 항목별 영수증 관리 필수
▶주의사항
- 이혼한 경우에 꼭 부모 중 한명만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중복 시 과세당국의 소명 요청 및 불이익이 발생 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 근로소득 이외에도 모든 소득에서 양육비공제 적용이 가능하고, 남성도 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 절세를 위하여 자녀공제, 교육비공제, 부녀자공제 등 항목의 최적 조합 및 지출 내역 관리를 적극 활용하셔야 합니다.
양육비 소득공제는 실제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부모들에게 매우 중요한 세제 혜택입니다. 그래서 공제조건, 절차, 증빙서류 등을 정확하게 준비해서 연말정산 혜택을 최대한으로 활용하는 것 역시도 중요하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