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공무원 봉급은 평균적으로 약 3.5% 인상되었고, 9년만에 최대 상승폭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봉급 인상만이 아닌 수당에서도 여러 항목에 대한 금액들이 인상되었고, 일부 수당들은 지급기준이 강화되었거나 신설되었습니다. 

인상 대상 수당에는 직급보조비, 정액급식비, 초과근무수당 감액조정률, 특수업무수당, 명절휴가수당, 정근수당 등이 포함되어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정리하였고, 인상되기 전과 인상된 후에 대한 수당도 표로 정리하였습니다.

▶공무원 수당 종류 안내

공무원 수당 종류는 [상여수당(3종), 가계보전수당(4종), 특수근무수당(4종), 초과근무수당등(2종), 실비변상등(4종), 특수지근무수당]이 있습니다. 이에 포함되는 수당명들과 지급 대상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이 있습니다. 그런데 중요한건 몇가지 카테고리에서 직급과 직렬, 가족형태 등에 따라서 또 본인의 상황에 따라서 지급 여부가 달라지게 된다 입니다. 

구분수당명지급대상
상여수당 (3종)
대우공무원수당대우공무원으로 선발된 공무원
정근수당
(정근수당가산금)
지급기준일(1.1/7.1)현재 공무원의 신분을 보유하고
봉급이 지급되는 공무원
성과상여금근무성적 및 업무실적 등이 우수한 공무원
가계보전수당
(4종)
가족수당부양가족이 있는 공무원
자녀학비보조수당제외 근무지 학교에 다니는 자녀를 둔 재외공무원
주택수당하사 이상 중령 이하 군인 및 재외공무원
육아휴직수당육아휴직 중인 공무원
특수지근무수당도서, 벽지, 접적지 및 특수기관 근무자
특수근무수당
(4종)
위험근무수당위험직무종사자
특수업무수당특수업무 종사자
업무대행수당병가.출산휴가.유산휴가.사산휴가.육아휴직,
공무상 질병휴직자의 업무 및 시간제전환공무원의
근무시간 외 임무를 대행 하는 공무원
군법무관수당군법무관
초과근무수당 등
(2종)
초과근무수당5급이하 공무원
관리업무수당4급이상 공무원
실비변상등
(4종)
정액급식비모든 공무원
직급보조비모든 공무원
명절휴가비명절일(설날, 추석날)기준재직 공무원
연가보상비1급이하 공무원(20일 이내의 미사용 연가에 대해 지급)
해당 표의 내용은 현재 공무원들이 받을 수 있는 수당 종류들 입니다. 자세한 수당은 직급이나 근무환경 상황에 따라서 다를 수 있기에 해당 수당에 대한 대상과 수당명만 설명하였습니다. 
공무원 가족돌봄휴가 및 경조사 휴가 등 '특별휴가' 정리

▶2026년 공무원 수당 금액 변화 안내

수당 구분세부 수당2025년 금액2026년 금액주요 변동내용
상여수당
정근수당근속연수별 월급의
10~50% + 가산금 5만~10만 원 추가
근속연수별 월급의
10~50% + 가산금 3~13만 원 세분화
가산금 구간 세분화, 장기근속자 인상
명절휴가수당월급의 60%월급의 60%일부 호봉상승 효과 외 큰 변화 없음
성과상여금직급·평가별 차등평가비율 확대 및 지급 차등 폭 강화성과급 차등폭 확대 추세
가계보전수당
가족수당배우자 40,000원
자녀 첫째 50,000원, 둘째 80,000원,
셋째 이상 120,000원
동일미미하거나 유지, 근거 조항 강화
자녀학비보조수당(직전 동일)소폭 상향 예정일부 예산안 상향 의견 반영 가능성
주택수당(지방청 등 실비 변상)유지 또는 소액 상향큰 변화 없거나 일부 소폭 인상
육아휴직수당월 150만 원 상한월 250만 원 상한최대 지급액 대폭 인상,
기간 확대 가능성
특수지근무수당특수지근무수당도서벽지, 특수지역 차등 7~21만원유지 또는 상향일부 강화·확대 주장 있으나
구체적 소식 없음
특수근무수당
위험근무수당월 6만 원월 7~8만 원경찰·소방 등 인상,
재난·안전 담당 신규 가산 수당 신설
특수업무수당근무 난이도/고충 별 차등인상 또는 일부 수당 신설민원업무수당 신설(월 3만 원),
특수직군 강화
업무대행수당업무대행 빈도별 차등 지급동일미미하거나 유지
군법무관수당법원, 검찰 군 특수직유지-
초과근무수당
초과근무수당감액조정률 55%감액조정률 60%차감률 완화 및 전체 직급 확대
관리업무수당중간관리자 등 월 정액유지-
실비변상
정액급식비140,000원160,000원월 2만 원 인상
직급보조비145,000원(9급 기준)170,000원(9급 기준)월 2.5만 원 인상,
6급 이하 추가 인상
명절휴가비상동상동월급 상향분만 반영
연가보상비미지정(근무일수 기준 계산)일부 단가 인상 예정일부 개선 논의 중
이번 이재명정부에서 공무원 봉급 및 수당에 대한 대대적인 변화가 이루어졌다고 하는데 이는 초임 공무원들의 안정을 위한 변화라고 합니다. 2026년 수당 변동에 대한 요약으로 정리하였습니다. 
  • 정근수당 가산금: 2026년 근속 연수별로 세분화, 5년 미만 3만원, 10년 미만 5만원, 15년 미만 6만원, 20 ~ 25년 이상 10 ~ 13만원 등으로 인상폭이 확대 되었습니다. 
  • 명절휴가수당: 공식 지급률(월급 60%)는 동일하나 월급 상승과 호봉 변화에 따라서 실지급액 증가 되었습니다. 
  • 가족수당: 배우자 4만원, 자녀 5 ~ 12만원, 부모 2만원 등 실지급액은 유지 됩니다. 
  • 육아휴직수당: 월 상한 150만원에서 250만원(최대 지급기간 확대 검토)로 대폭 인상되었어요.
  • 위험근무수당, 특수업무수당: 위험근무수당 6만원에서 7 ~ 8만원으로 인상, 민원업무 등 신설 수당이 확대 되었습니다. 
  • 초과근무수당: 감액조정률이 55% > 60%로 완화 되었고, 모든 직급에 확대 적용됩니다. 
  • 정액급식비, 직급보조비: 14만원 > 16만원, 14만5천원 > 17만원 등 실질 인상 되었습니다. 
부가적인 설명으로는 이번 인상에서 저연차.하위직 처우개선 위주, 특수.위험직군, 복지수당 분야의 실질 인상이 주목되고 있으며, 성과상여금 등은 실적평가 차등 폭이 커지면서 조직 내 성과급 배분이 확대되고, 가족수당 등은 큰 변화 없이 유지 되었습니다. 또 육아휴직.위험근무.정액급식.직급보조 등 복지성 특정업무 수당들은 집중 인상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