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은 운전자의 핸들 조작을 도와주는 아주 중요한 장치 입니다. 그래서 크게 유압식과 전자식 두가지 방식으로 나뉘는데 이 두가지에 대한 차이를 좀더 명확하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는 운전자들이 자신의 차량에 맞는 파워스티어링 방식을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유압식, 전자식 파워스티어링 차이점

1) 작동 원리와 동력 공급의 차이점

  • 유압식: 엔진 구동 벨트로 유압 펌프가 작동해 오일 압력을 발생 시켜서 조향을 보조
  • 전자식: 전기 모터와 ECU가 토크 센서 신호를 받아서 필요시 전력으로 조향을 보조

2) 구조 및 부품에 대한 차이점

  • 유압식: 유압펌프, 오일 탱크, 호스 등 다수 부품과 복잡한 유압 라인 필요
  • 전자식: 모터, 토크 센서, ECU등 컴팩트한 전자부품으로 구성, 오일 불필요

3) 조향 느낌과 반응성

  • 유압식: 직결감 뛰어나고 즉각적이면서 자연스러운 피드백 제공
  • 전자식: 소프트웨어 조절로 조향감 가변, 저속에서 가볍고 고속에서 무겁게 조절이 가능

4) 효율성과 연비 차이점

  • 유압식: 항시 엔진 동력 소모로 연비 저하 및 동력 손실 발생
  • 전자식: 필요 시만 모터 작동해 연비 향상, 에너지 효율 우수 함

5) 기능과 적용 범위 차이점

  • 유압식: 전자제어 제한적, 첨단 주행보조 연동 어려움
  • 전자식: ECU 통합 제어로 차선 유지, 자율주행 등 첨단 기능 지원이 가능

6) 유지보수 및 내구성 차이

  • 유압식: 오일 누유, 교환 및 부품 마모 등 잦은 점검 및 관리 필요
  • 전자식: 무오일, 누유없고 소모품 적어 유지보수 부담 적음, 내구성이 높습니다.
이와 같이 유압식과 전자식 파워스티어링은 기본 원리에서 구조, 성능, 관리 측면까지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이에 각각 장점과 단점에 따라서 적용 차량과 운전 환경이 구분될 수 있습니다.